<p></p><br /><br />이용구 법무부 차관의 택시기사 폭행 사건 속보로 이어갑니다. <br> <br>어제 채널A는 피해자인 택시기사와 단독으로 동행 인터뷰한 내용을 전해드렸습니다. <br><br>오늘도 후속보도 이어갑니다. <br> <br>경찰은 이용구 차관을 입건도 안하고 내사 종결한 경위를 설명하며, 피해자가 전화로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택시기사의 기억은 경찰의 설명과 다릅니다. <br> <br>먼저, 박건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경찰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입니다. <br> <br>지난달 8일, 피해자인 택시기사가 담당 형사에게 전화로 "원만히 합의해 이 차관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"는 뜻을 밝혔다고 적혀 있습니다. <br> <br>이날은 이 차관과 택시기사가 카페에서 만나 합의한 날입니다. <br> <br>다음 날 오전 10시 35분, 피해자 조사 때 처벌불원서를 제출했다고도 돼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택시기사의 기억은 달랐습니다. <br> <br>사건을 수사하는 경찰관의 전화를 처음 받은 건 조사 당일인 9일 오전 9시쯤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8일에는 담당 경찰관 연락처도 몰랐고 통화한 적도 없다고 했습니다. <br><br>9일 2분 40초간의 통화에서 경찰은 "조사를 받으셔야 한다"며 "최대한 빨리 나와달라"고 말했을 뿐, 합의 여부나 처벌을 원하는지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는 게 택시기사의 주장입니다. <br><br>운행 중이었던 택시기사는 전화를 끊고 바로 서초경찰서로 향했습니다. <br><br>경찰은 조사 과정에서 합의는 했는지 물었고, 택시기사는 이때 처음으로 "어제 합의했고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"는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택시기사는 먼저 처벌불원서를 내지는 않았고, 경찰의 안내에 따라 '처벌을 원치 않는다'는 글을 쓴 뒤 지장을 찍었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기사가 조사를 받은 9일에는 이 차관도 조사가 예정돼 있었지만 이 차관은 이날 경찰에 연락해 출석이 어렵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그 사이 경찰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택시기사의 진술을 바탕으로 이 차관을 조사하지 않은 채 사건을 종결했습니다. <br> <br>택시기사와 입장이 엇갈리는 것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자 경찰은 국회 제출 자료 내용에 착오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 <br>change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이은원